본문 바로가기
인생챙김/토탈 건강

공기정화식물 정말 효과 있을까? 과학적 근거와 추천 식물

by 캄다운 김캄캄 2025. 4. 10.
반응형

 

공기정화식물은 정말 효과가 있을까?

실내 공기질 개선에 대한 진실과 오해 실내 공기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더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많은 분들이 '공기정화식물'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요즘, 화분 하나쯤은 들여놓고 싶은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그런데 정말로 식물이 공기를 정화해 줄까요?

단순히 인테리어용으로 예쁜 것뿐 아니라,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NASA 연구로 유명해진 ‘공기정화식물’의 개념

공기정화식물이라는 개념은 1989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진행한 연구를 통해 대중적으로 알려졌습니다.

우주선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연 공기정화 시스템을 연구하면서, 일부 식물이 포름알데히드, 벤젠, 트라이클로로에틸렌 등 유해 화학물질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죠.

이 연구 이후로 ‘공기정화식물’은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산세베리아, 스파티필름, 아레카야자, 아이비 등은 공기정화에 좋다고 널리 알려졌습니다.

 

 

 

2. 실내 공기 정화에 식물이 실질적으로 미치는 영향

하지만 이후의 과학자들과 환경 전문가들은 NASA 연구의 ‘실내 적용 가능성’에 대해 조금 다른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NASA의 실험은 밀폐된 실험실 환경에서 식물 1~3개가 공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을 테스트한 것이고,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제 환경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2020년 미국 환경과학기술 저널(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Letters)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일반적인 실내 공간에서 공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평방미터당 최소 수십 개의 화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즉, 식물 한두 개로는 의미 있는 수준의 공기정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기정화식물이 가치 있는 이유

그렇다고 해서 공기정화식물이 아무 쓸모가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실질적인 공기청정기능은 미미할 수 있지만, 식물이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 심리적 안정 효과: 초록색 식물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줍니다. 우울감을 줄이고 기분 전환에도 도움이 됩니다.
  • 습도 조절: 식물은 잎을 통해 수분을 증발시키며 실내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 미세먼지 포집 효과: 공기 중의 먼지가 식물 잎에 달라붙으면서 미세먼지 농도를 줄이는 데 부분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천연 인테리어 소품: 공간을 생기 있게 만들어주며,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4. 공기정화에 도움이 되는 대표적인 식물 추천

공기정화 효과가 입증되었거나, 심리적 안정과 습도 조절에 좋은 식물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 산세베리아: 밤에도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배출하는 대표적인 식물입니다.
  • 스파티필름: 벤젠과 포름알데히드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공기정화에 자주 언급됩니다.
  • 아레카야자: 실내 습도를 높이는 데 탁월합니다. 대형 식물로 인테리어 효과도 큽니다.
  • 아이비(헤데라): 곰팡이균을 억제하고,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 호야: 관리가 쉬우며 향기가 좋아서 공간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5. 결론: 공기정화식물은 보조 수단으로 활용하자

공기정화식물은 과장된 이미지와는 달리, 주된 공기정화 수단이라기보다는 보조적인 역할로 생각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공기청정기와 환기, 실내 습도 조절 등을 기본으로 하되, 식물을 함께 두면 심리적 안정과 공간 분위기 개선에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공기정화식물은 효과가 있냐?”는 질문에 대한 정답은 부분적으로 있다는 것입니다.

실내 환경을 보다 건강하고 쾌적하게 만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